https://bo20cy.tistory.com/15
이전 블로그 참조
도커 컨테이너 포트 구성
docker ~!~!#~!#@~!@~! -p 11111:12345 !@#!@#!@#12412
이런식으로 구성하는데
-p 는 포트 구성하는 옵션이고
11111:12345 는 호스트포트 : 컨테이너 포트 이다.
외부에 접속하려 11111번 포트로 접속하고 내부에서 12345번 포트로 연결해주는 개념이다.
예시) (외부)비밀번호 11111번을 치면 (내부)12345번 문이 열리는 개념이다
NGINX 구성
docker run --name nginxx -d -p 18080:80 nginx
tomcat 구성
docker run -d --name tomcat -p 8888:8080 tomcat
MySQL 구성
docker run -dit -e MYSQL_ROOT_PASSWORD=1q2w3e4r -p 13366:3306 --name mysqll mysql:5.7
작동 확인
- image 확인
18080포트(ip a 로 찾은 값)
- nginx 완료
- tomcat 완료 ?
index 문제인지 확인해보자
webapps 파일 아래가 비었으므로 폴더를 만들고 나온다
index.html 파일도 만들어서 넣는다.
(컨테이너에서 vi 편집기가 없어서 일단은 만들어서 넣는다)
<!-- index.html -->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Welcome to Tomcat</title>
</head>
<body>
<h1>Welcome to Tomcat</h1>
<p>Congratulations! Your Tomcat server is up and running.</p>
</body>
</html>
docker cp index.html tomcat:/usr/local/tomcat/webapps/ROOT/
docker cp 명령어로 복사해준다.
(목적지를 반대로 치면 땡겨오고 없는 폴더는 만들어 준다)
docker restart
tomcat 완성
- mysql은 다음 연동 편에서 확인합니다.
참조:https://velog.io/@sherlockid8/Docker에서-nginx-tomcat-연동시키기
'도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 컴포트 설치 (0) | 2024.06.13 |
---|---|
도커 3티어 연동 (1) | 2024.04.12 |
도커 컨테이너 만들기 (2) | 2024.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