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Ncloud)

NCP 3티어 아키텍처 - WEB, WAS설정

테라폼 글 참조

https://bo20cy.tistory.com/5
 

테라폼 서버 생성(+nic)

이전 포스트와 연결됩니다. 테라폼 서버 생성하기 resource "ncloud_login_key" "loginkey" { key_name = "test-key" } resource "ncloud_vpc" "test" { ipv4_cidr_block = "10.0.0.0/16" } resource "ncloud_subnet" "test" { vpc_no = ncloud_vpc.test.

bo20cy.tistory.com

 

설명

3티어 구성 서버를 생성했으면 내부에 AP들을 심어서 구성을 완료해 보겠습니다.

 

WEB에는 NGINX, WAS에는 Tomcat을 깔아 작동시키고

 

다음 글에서 연동을 시켜보겠습니다.

 

하지만 편의성을 위해 한서버에서 작동시키고 나중에 따로 연동 시키는 걸 보여드리겠습니다.

방법

Centos 7.8 기준

 

NGINX 설치

Web서버에서 NGINX설치를 위해 repo를 등록해 줍니다.

cat << EOF > /etc/yum.repos.d/nginx.repo
[nginx]
name=Nginx Repository \$basearch - Archive
baseurl=http://nginx.org/packages/centos/\$releasever/\$basearch/
enabled=1
gpgcheck=1
gpgkey=https://nginx.org/keys/nginx_signing.key
EOF

 

 

그리고 설치 및 등록을 해 줍니다.

sudo yum install -y nginx
sudo systemctl start nginx
sudo systemctl enable nginx

 

 

 

확인 작업으로 공인IP에 들어가 보면

 

 

 


Tomcat 설치

 

Web서버에서 Tomcat설치를 위해 java가 필요하니 설치해 줍니다.

sudo yum install -y java-11-openjdk-devel.x86_64
sudo java -version

 

 

 

java version이 잘 깔렸나 확인해줍니다

 

Tomcat을 깔아봅니다.

sudo cd /usr/local/
sudo wget -P /usr/local/ https://dlcdn.apache.org/tomcat/tomcat-10/v10.1.19/bin/apache-tomcat-10.1.19.tar.gz --no-check-certificate
sudo tar -xvf /usr/local/apache-tomcat-10.1.19.tar.gz -C /usr/local/tomcat --strip-components=1
sudo bash /usr/local/tomcat/bin/startup.sh

다운받고 있습니다.

 

압축도 풀어 줍니다.

 

시작까지 하면 작동이 됩니다.

 

 

확인 작업으로 공인IP:8080에 들어가 보면

 

 

귀여운 톰캣이 나왔습니다!

 

 

다음 글에는 연동을 적어보겠습니다.